아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전입신고는 정말 중요합니다. 인터넷 전입신고든 방문 신고든 이사한 지 14일 이내로 완료해 주어야 하는데요. 왜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하는지, 또 인터넷 전입신고 하는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전입신고 안 하면 돈 날리는 이유

 

전입신고는 위에서도 짧게 말씀드렸다시피 이사하고 나서 가장 첫 번째로 해야 할 일입니다. 특히 이사한 날을 기준으로 14일 이내에 신고를 해야 하는데요.

 

기한 내에 인터넷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하지만 과태료보다 더 중요한 건, 전입신고를 하지 않을 시에는 세입자로서 본인의 권리를 제대로 주장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무슨 얘기냐면요. 집마다 사정은 다 다르겠지만, 집주인이 살다 보면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가 생깁니다. 그럴 때, 전입신고한 날짜가 집주인이 돈을 빌린 날짜보다 앞서야만 보증금을 모두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정말 나쁜 케이스로 집이 경매에 넘어가더라도 말이죠.

 

그러니 인터넷 전입신고는 내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절대 빼먹으면 안 되는 의무입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준비물 알아보기

 

원래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고해도 괜찮습니다. 다만, 주민센터에 방문할 때는 본인의 신분증과 임대차계약서를 따로 준비해 가는 번거로움이 있는데요.

 

인터넷 전입신고 하는법은 훨씬 간단합니다. 아마 인터넷을 자주 사용하는 분이라면 공동인증서 하나쯤은 가지고 계실 거예요. 해당 공동인증서로 사이트에 등록만 해 주면 신고 절차가 5분 내로 끝이 납니다.

 

준비물은 딱 하나!

공동인증서

 

 

 

인터넷 전입신고 하는법 확인하기

 

인터넷으로 전입신고를 하려면 먼저 정부24라는 사이트에 들어가야 합니다.

 

웬만한 민원처리는 전부 정부24 사이트에서 이루어지는데요. 정부24는 아래를 통해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화면을 켜고 하나씩 따라해 보세요.

 

정부24 사이트 바로 이동하기

 

 

 

메인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우측 상단에 로그인 화면이 뜹니다. 이미 공동인증서를 등록하신 분은 로그인을 눌러 바로 진행해 주시구요. 만약 처음 방문하신다면 바로 아래쪽의 '회원가입'을 눌러 가입을 마쳐 주시기 바랍니다.

 

 

 

그다음 메인 화면의 검색창에 '전입신고'라고 입력한 뒤, 돋보기 모양을 눌러 검색해 줍니다.

 

만약 한 글자도 치기 귀찮다 하시는 분은요. 오른쪽에 추천검색어를 활용해 보세요.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국민들이 자주 사용하는 메뉴 5가지가 뜨는데요. 전입신고가 2위에 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를 누르면 바로 메뉴로 이동합니다.

 

 

 

그러면 뭔가 복잡하게 이것저것 뜰 텐데요. 그중에서 '신청서비스' 메뉴의 첫 번째 서비스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전입신고'라고 적혀 있는 게 보이시죠?

 

오른쪽의 '신고' 버튼을 눌러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전입신고, 이것 모르면 난리난다

 

인터넷 전입신고 하는법이 간단해서 자주 이용하는데요.

 

하지만 몇 가지 주의사항을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잘못 알았다가는 신청이 된 줄 알고 오해했다가 손해를 보는 경우도 있고요. 심지어 온라인으로는 아예 신청이 불가능한 케이스도 있거든요.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

 

첫 번째로 내가 전입신고를 하는 것과 별개로 세대주의 확인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크게 3가지 경우가 있는데요.

 

세대주의 확인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명확하죠. 세대주는 세대의 주인입니다. 그런데 세대주가 바뀐다거나, 기존에 세대주가 있는데 해당 집으로 누군가 이사를 온다면 당연히 확인이 필요하겠죠.

 

1) 세대주와 함께 이사하는데, 전입신고는 세대원이 할 때

2) 이사하면서 세대주가 변경될 때

3) 이사가는 곳에 기존 세대주가 있을 때

 

 

위의 세 가지 경우에 해당한다면 인터넷 전입신고 이후에 반드시 세대주 확인이 필요합니다. 세대주 확인 역시 주민센터에 방문할 필요 없이, 인터넷에서 해결이 가능한데요.

 

세대주 확인 바로 이동하기

 

위 메뉴를 누르시면 세대주 확인 화면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으니까요. 전입신고를 하고 3일 이내에 반드시 세대주 확인까지 마치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전입신고가 제대로 완료됩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불가능할 수도 있다?

 

네, 맞습니다. 아래의 세 가지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1) 전입신고자가 만 17세 미만일 때

2) 기존 세대가 사는 곳으로 이사하여 별도 세대를 구성할 때

3) 미성년자가 포함된 전입신고를 하는데, 세대주 확인을 온라인으로 못 해 주는 경우

 

1번과 2번이야 비교적 명확한데요. 3번이 헷갈리실 겁니다.

 

 

그러니까 미성년자를 데리고 이사를 갈 경우에는 반드시 기존 세대주가 확인(승낙)을 해야 한다는 겁니다. 아이를 어느 한 보호자가 임의로 데려가서 키울 수 없다는 얘기라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위의 유의사항들을 모두 확인하셨나요? 그러면 이제 본격적으로 인터넷 전입신고를 진행할 차례입니다. 위의 유의사항을 모두 읽고 나면 화면을 아래로 이동하세요. 그리고 '예' 버튼과 '확인' 버튼을 눌러 줍니다.

 

 

 

인터넷 전입신고는 총 3단계입니다.

 

1) 신청인정보

2) 이사 전에 살던 곳

3) 이사 온 곳

 

1단계 신청인 정보 작성은 쉽습니다. 본인의 이름과 연락처, 그리고 전입하려는 사유를 선택하면 되는데요. 전입사유는 취업, 분가, 계약 만료, 진학 등등 본인의 사정에 맞게 선택하세요.

 

 

 

2단계인 '이사 전에 살던 곳'도 작성이 금방 끝납니다. 본인이 이사오기 전에 살았던 곳의 시와 구를 선택하면 모든 자료가 자동으로 입력되기 때문인데요.

 

 

주소가 맞는지 잘 확인하시고, 이사 가는 사람이 누구인지 선택해 주세요. 저 같은 경우는 세대주 한 명만 나오지만, 세대원이 딸린 집이라면 나머지 식구들도 전부 선택이 가능합니다.

 

 

 

마지막 3단계입니다. 이 부분이 조금 까다로울 수 있는데요. 새로 이사 간 곳의 주소를 먼저 입력해 줍니다. 여기까지는 어렵지 않으실 거예요.

 

 

 

그다음에 나오는 선택지가 조금 까다롭습니다. 빈집으로 이사하느냐, 아니면 기존에 세대주가 있는 집으로 이사하느냐에 따라 선택지가 달라지는데요. 각 선택지를 클릭하면 입력할 정보들이 나옵니다.

 

저는 예시를 들기 위해 두 번째 항목을 선택했습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세대주가 있는 집으로 이사를 가는데 별도 세대를 구성하려고 한다면 온라인 신고가 불가능합니다. 기존 세대주 밑으로 들어가는 경우에만 인터넷 전입신고가 가능하니 꼭 기억하세요.

 

 

 

위 화면과 같이 본인에게 해당하는 메뉴를 하나씩 입력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이사 가려는 곳에 있는 세대주의 개인정보를 입력해 주었고요. 저와 기존 세대주 중에 누구를 세대주로 할 것인지 정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기존 세대주와의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선택했고요.

 

 

 

이사를 함과 동시에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초등학교 배정정보 등 부가서비스를 신청하시고요. 맨 아래쪽의 '민원신청하기'를 눌러 인터넷 전입신고를 마쳐 줍니다.

 


 

인터넷 전입신고 하는법 마지막 정리

 

핵심만 다시 짚어 드리겠습니다.

 

1. 전입신고는 무조건 이사 14일 이내에

2. 온라인으로 신청 못 하는 경우가 있음

3.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음 (신고 3일 이내)

 

각 항목에 대해 내용이 기억이 안 나신다면, 위로 올라가 확인하시고요. 전입신고가 끝이 아님을 다들 알고 계실 겁니다. 바로 확정일자라는 것이 남아 있기 때문인데요. 이 역시 내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 필수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